Jammy dance

소비자의 이해 본문

대학 공부/1-1-2 뷰티산업소비자트렌드 - 이영희 교수님

소비자의 이해

맹뚱이 2025. 4. 21. 15:36

[3주차 수업_소비자의 이해]
 
1. 소비자 유형 및 소비자 행동
 
 
 
1. 소비자 유형
 
   1. 소비자: 모든사람

  • 성별, 연령 주거 지역, 교육 수준 문화의 차이와 관계없이 각자의 욕구 충족을 위해 경제사회에 참여.

   2. 시장에서의 소비자: 공급자에 대립하는 개념.

  • 소비자: 사업자가 제공하는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사람
  • 공급자: 물건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사람.

   3. 시장에서의 소비자 특성

  • 소비자는 자립적이며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생산을 조절, 통제할 수 있음.
  • 주어진 조건에서 최대의 만족을 달성하기 위해 행동하는 합리적 경제인.
  • 실생활에서 소비자는 비전문적임.
  • 공급자: 사업자는 자본, 조직력, 정보력을 기반으로 시장에서 전문화 됨.
  • 사업자에 대하여 소비자가 종속적 위치에 놓이게 한다는 특성을 가짐.

   4. 시장에서의 소비자 영향력 변화

  • 수동적 → 사회 환경 기술 발전 → 능동적
  • 기업과 상호 소통하는 능동적 소통 가능
  •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
  • 기업, 제품평가 등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짐
  • 소비자의 불평, 부만은 기업에게 큰 이슈로 작용함.

   5. 소비자 분류

  • 인구통계적
    • 연령에 따른 구분
    • 세대별 구분
    • 성별 구분
  • 소비자행동기반: 구매태도에 따른 소비자 유형
  • 한국 세대: 어린아이가 성장하여 부모 일을 계승할 때까지의 30년 정도 되는 기간
    • 베이비 부머 세대
      • 좁게 1차 베이비 부머: 1955 ~ 1963년생 (60~68세)
      • 넓게 2차 베이비 부머: 1968 ~ 1974년생 (49~55세)
    • MZ 세대 특징
      • 사회적: 합계출산율 하락 등 인구 구조적 변화, '나' 중심의 소비, 나의 개성과 스타일에 주안점을 둠.
      • 기술적: 디지털 네이티브, 텍스트 보다 동영상/이미지를 통한 정보의 습득력과 이해력이 높음.
      • 경제적: 소득 향상, 경제위기. 여가 중시, 현실성 동시 발현, 소유에 집착하지 않고 공유의 가치를 높게 평가함.
      • 정책적: 환경, 윤리적 가치 중시. 컨셔스 소비. 기업의 진정성과 도덕성이 구매기준임.
한국 세대한국글로벌
베이비 부머 세대 (아날로그)1955 ~ 1963년생1940 ~ 1964년생
X 세대 (아날로그)1970 ~ 1980년생1965 ~ 1980년생
Y 밀레니얼 세대 (디지털 이민자)1981 ~ 1996년생1981 ~ 2000년생
Z 세대 (디지털·모바일 네이티브)1997 ~ 2009년생2001 ~ 2009년생
알파 세대 (온리 디지털, AI·챗봇 네이티브)2010년 이후 출생2010년 이후 출생

 
   6. 디지털 시대의 소비자 유형

  • 리드 유저 (Lead User, Hippel 1986)
    • 향후 시장에서 일반화될 신상품, 신기술의 니즈를 먼저 파악하는 소비자
    • 소비자, 전문지식을 가진 직원, 전문가 집단, 기업 등
    • 신제품 개발시 리드 유저를 활용하면 유용
  • 의견 선도자 (Opinion Leader)
    •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신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람
    • 주된 영향력 발휘, 발언건 있는 유명인사
    • ex) 파워 블로거
  • 혁신 소비자 (Innovative Consumer)
    • 시장에 등장한 새로운 제품을 제일 빨리 수용함.
    • 신제품을 제일 먼저 체험, 체험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전파함.
    • 기업이 먼저 마케팅 해야 하는 대상
  • 시장 전문가 (Market Maven)
    • 신제품에 대한 시장 정보를 많이 보유한 정보 탐색가
    • 기술적 측면의 전문가는 아님, 풍부한 시장 정보를 바탕으로 현명한 구매(smart buying) 하고 다른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즐김.

   7. 디지털 시대의 소비자 유형

  • 인플루언서 (Influencer)
    • 소셜 네트워크에서 수십만 명의 팔로우를 보유한 사람
    • 사회적 지위가 드러난 사람, 연예인, 모델 등
    • 신제품을 제일 먼저 수용하는 혁신자
    • ex) 인기 많은 유튜버 또는 블로거
  • 허브와 브로커 (Hub & broker)
    • 의견 선도자, 혁신자 & 정보 중개자 정보 중간상
    • Hub: 사회적 네트워크 내에서 연결 정도가 다른 사람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고 넓음.
    • Broker: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수용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소비자
    • ex) 트위터에서 트윗, 리트윗
  • 프로슈머 (Prosumer)
    • producer(프로듀서) + consumer(소비자)
    • 제품의 생산과정에 직접 / 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소비자
    • 기업의 신제품 개발과정에 참여
    • 새로운 아이디어 제시, 제품 평가, 문제해결 지원
  • 프로유저 (Prouser)
    • 기술적인 전문성을 보유한 전문가
    • 제품을 직접 개량할 수 있는 소비자
    • 기업에서는 자사 제품의 프로유저를 육성하기도 함
    • ex) MS의 Microsoft MVP 제도

   8. 소비자 혁신(기술)수용 성향

  • 혁신수용모델(1971): 기술기반의 혁신적인 제품(신제품/기술)을 얼마나 빠르게 사용하는 지에 따라 분류

   9. 라이프 스타일의 개념

  • 개인의 삶의 방식을 반영하는 소비 패턴
  • 전반적인 소비 성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돕는 개념
  • 소비자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,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
  • 마케팅 측면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함께 시장세분화의 중요한 기준

   10. 라이프 스타일의 개념

  •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분석
    • 경제적, 문화적, 사회적 차원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
    • 소비의 측면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소비자를 다시 포착하려는 시도
    • 기업이 표적 고객에게 제품의 소비를 유도하는 것 대신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분석 방법
  •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소비자 유형 분류 (2022년 홍원기) 
    •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시장 세분화를 할 수 있는 가능성 의미
    • 각각의 소비자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줌.
    • 취미활동추구형, 패션유행추구형, 과시소비추구형, 환경보호추구형, 색조화장추구형, 건강생활추구형

 
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