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mmy dance
화장품 산업 현황 본문
[2주차 수업_화장품 산업 현황]
1. 화장품 산업 시장 현황
2. 화장품 산업 주요 트렌드
3. 화장품 소비 시장 분석
1. 화장품 산업 시장 현황
1. 글로벌 화장품 시장
- 현재 약 600조원 > 2031년 876조원으로 성장 예정 (트랜스 페어런시 마켓 리서치)
- 특히 중국과 인도에서 생활수준의 향상과 새로운 소비자 기대치가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임.
- 화장품 수입국 1위는 프랑스임.
2. 스킨케어 시장을 이끄는 주요 트렌드
- 코로나 19 펜데믹 이후 셀프 케어 욕구가 커짐
- 천연 미용 제품 관심 증가
- 인구 고령화로 자외선 차단 제품의 광범위한 사용
3. 이커머스로 강화된 아시아 태평양
- 세계경제포럼: 아시아-태평양 지역은 이미 전 세계 온라인 매출의 60% 차지 (2025년에는 2조달러 예상)
- 뷰티부문의 인수합병이 가속화될 수 있음.
- 천연 화장품 원료의 최대 시장인 중국은 특히 글로벌 수요 증가로 인한 혜택 누릴 가능성이 큼.
4. 국내 화장품 시장 규모
- 국내 주요 산업이 위축될 것으로 예측 되어 2024년 글로벌 경제 성장률은 평균치(3.4%) 보다 낮은 2.7~2.9%를 기록할 전망
- 수출은 증가하였지만 화장품 시장 전체 규모가 감소, 국내 소비가 급격하게 감소하였기 때문.
- 국내 화장품 업종 디지털 광고비는 전년 대비 5% 증가함.
- 기초 화장품 광고비 9% 증가
- 색조 화장품 광고비 22% 증가
- 중소형 인디 브랜드의 성장성이 확대되는 양상이 보임.
- 중소형 화장품 브랜드의 시장 진입이 용이
- 인디 브랜드의 성장 모멘텀 강화할 전망으로 보임
- 화장품 OEM·ODM 업체의 수혜 기대감 상승
- 화장품 업황의 회복세 전망, 온라인 화장품 침투율 상승
- 국산 브랜드의 중국 시장 내 입지 축소 지속될 전망
- 쿼차오 문화 확산
- 중국산 브랜드의 가격 경쟁력과 향상된 품질
- 반면 북미, 유럽, 일본 등 비중국 해외 선진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이 두각을 보임
- 수출국 중 중국 비중 줄어듬
-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 완화, 노력 성과 가시화됨.
- 대미 화장품 수출 확대
5. ** 퍼센트 포인트
- 퍼센트 포인트 (%p, %P): 두 백분율과 산술적 차이 나타낼 때 쓰는 단위
- 예시 1번 '50%에서 60% 증가하였다.' >> 20%가 증가하였다 or 10%p가 증가하였다.
- 예시 2번 '2%에서 1%로 감소하였다.' >> 50%가 감소하였다 or 1%p가 감소하였다.
2. 화장품 산업 주요 트렌드
1. 새로운 화장품 유통채널
- 다이소: 경기 침체로 초저가 소비만 이뤄짐. (23년에는 85% 급성장), 다이소와 올리브영 경쟁 심화
2. 화장품 트렌드 키워드
- 슬로우 에이징: MZ세대 중심으로 노화를 부정하기보다 '천천히 늙어가자'는 트렌드 확산
3. 고운세상 코스메틱 AI 도출 2024 뷰티 키워드 F.O.C.U.S
- 맨즈 뷰티 (For Man): 커뮤니티에서 정보 얻고 피부 케어하는 남성 그루밍족
- 남성 고객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은 피부 타입은 '민지형(민감지성형)임'
- 가장 신경 쓰이는 피부 고민
- '여드름/트러블(56.1%)
- 넓어지는 모공(48.4%)
- 남성 뷰티와 관련한 커뮤니티 및 SNS 활성화 큼
- 인터넷 카페/커뮤니티 후기(34.8%)
- 샘플/사은품(46.5%)
- 옴니 뷰티 (Omni-beauty): 다기능 화장품 (시간 비용 절감 위한 멀티 기능 선호)
- 1020 여성 고객 중 45.9%는 필수 데일리 스킨케어 아이템으로 '닦토(닦아내는 토너)를 선호함.
- 컨셔스 뷰티(Conscious beauty): 의식 있는 뷰티, 자신이 지향하는 가치에 따라 소비
- 뉴 노멀로 자리 잡은 가치 소비
- 비건 뷰티, 클린 뷰티, 업사이클링 제품까지 다양한 제품 출시 중
- 성분의 취향화(Users' taste): 피부에 최적화된 성분 찾는 '성분의 취향화'
- 남성 53.5%, 여성 55.2%가 스킨케어 제품 선택 시 '성분'을 중시하는 것으로 확인 됨.
- 스마트 뷰티(Smart beauty): 피부도 AI 시대, AI 진단으로 개인 맞춤형 솔루션 제공
- 인공지능 피부 분석·화장품 판독 서비스
3. 화장품 소비 시장 분석
1. 주요 관심사 및 소비 고려
- 사용후기에 가장 관심이 많음
- 가장 큰 구매요인은 제품의 효능 효과에 있음
- 올리브영과, 온라이 쇼핑몰에서 구매를 많이 함(단, 프리미엄 화장품은 백화점이나 면세점에서 구매하는 비율이 높음)
- 화장품 가격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음
- 화장품 소비자 40%는 다이소에서 화장품을 구매함.
2. 국내 시장 핵심: 초저가 소비 시대
3. 글로벌 시장 핵심: 인디 뷰티
'대학 공부 > 1-1-3 뷰티산업창업실무 - 홍원기 교수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주차 _ 사업 및 브랜드 컨셉 정하기 (2) (3) | 2025.06.15 |
---|---|
사업 및 브랜드 컨셉 정하기 (1) | 2025.04.23 |
화장품 산업 창업 법규 (4) | 2025.04.23 |
화장품 산업 창업 실무 1 (1) | 2025.04.23 |
2025년 주요 이슈 (2) | 2025.04.23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