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mmy dance
화장품 산업 창업 실무 1 본문
[4주차 수업_화장품 산업 창업 실무 1]
1. 사업자 이름 정하기
2. 기업 네이밍 기업
3. 사업자 개설 방법
4. 기업 미션 비전 정하기
1. 사업자 이름 정하기
1. 자신의 사업장 및 기업 이름 정하기
2. 화장품 사업자, 기업 이름 아이디어 떠올리기
3. 화장품 기업 주요 키워드 정리하기
4. 나의 기업 비전, 미션 정하기
2. 기업 네이밍 기법
1. 기존 단어 사용 기업: 유명브랜드 네이밍의 50% 이상은 단어 그대로를 사용함.
- 직접적이고 소박한 네이밍이 오히려 강한 임팩트를 주는 경우도 많음.
- ex) 애플, 크라운
2. 더하기 기법: 단어 2개를 합하여 네이밍 하는 방법.
- 어떻게 결합하는지에 따라의미가 넓어짐
- 우리말과 한자, 영어 등 여러 언어를 섞어서 만들 수 있음.
- ex) 총각네 + 야채가게, 바른 + 치킨
3. 빼기 기법: 본래 있는 그대로의 키워드에서 꼬리를 자르는 방법 (줄임말)
- 단어 하나에서 필요하지 않은 부분을 제외하여 남겨진 부분을 네이밍으로 사용함.
- ex) 자연을 담아 더 착한 치킨: 자담 치킨
4. 단어 조합 기법: 여러 단어들을 더한 후 새로운 단어로 결합하는 방법
- ex) Federal Express → FedEX
- ex) Korea Can Do → Korando
5. 이름 사용 기법
- 기업 이름에 인물이나 자신의 이름을 사용 소비자에게 친밀감을 주는 네이밍 방법
- ex) 알라딘, 파파존스, 맥도날드, 샤넬
6. 이중 의미 기법: 표기에 따라 다중에 의미를 지닐 수 있게 하는 네이밍 기법
-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칠 수 있음.
- ex) 올리브영 (Oilve young) → All live Young, SSG (신세계) → 쓱
7. 이니셜 기법: 의미를 가진 두 개 이상의 단어를 조합 (한글 줄임말을 영어로한 느낌)
- 각각의 단어에서 첫 글자만을 골라 만드는 기법.
- ex)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→ IBM
8. 브랜드 네이밍 주의 사항: 브랜드 명은 상표권 등록 가능 여부가 가장 중요함.
- 동일·유사 상표 검색: 특허청(KIPPIS)에서 기존에 등록된 상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이 있는지 검색. 만약 유사한 상표가 이미 등록되어 있다면 거절될 가능성이 큼. (네이밍을 수정해야함)
- 사용 가능한지 확인 후 변리사를 통해 상표권 등록.
9. 네이밍 키워드 선정
- (1) 화장품 사업이라는 주제 안에서 업계에 부합한 키워드, 단어들을 최대한 많이 나열한다. (화장품 사업 하면 떠오르는 모든 단어들을 다 적어보는 것이 좋음)
- (2) 한글, 영어, 프랑스어, 이태리어, 히브리어, 아프리카어 등 다양한 언어를 활용하여 최대한 많은 키워드를 나열
- (3) 키워드들을 더하기, 빼기, 조합, 이중의미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단어들을 만들어 본다.
- (4) 내가 만든 새로운 키워드 조합에서 5개의 최종 후보를 선정한다.
- 선정기준 ▼
- 화장품 경쟁사 사이에서도 충분히 돋보이는 이름인가?
- 내가 타겟으로 하는 소비자들과 잘 어울리는 이름인가?
- 이 네이밍을 들었을 때 무엇이 연상 되는가?
- 이 네이밍이 발음되고 쓰여지는데 수월한가? Moira (ㅁ, ㅇ, ㄹ)의 발음 구성이 좋다.
- (5) 회사 및 브랜드 이름이 상표권 등록이 가능한지 점검한다.
- 회사 이름은 상표권이 꼭 등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. 그러나 브랜드는 꼭 상표권 등록을 해야함.
- 회사 이름으로 도메인이 가능한지 점검해야 함. www.회사이름.com 이 가능해야 소비자들이 홈페이지로 정보를 얻음.
4. 기업 미션 비전 정하기
1. 비전(Vision)
- 기업이 장기적으로 어떤 모습이 되고 싶은지를 나타내는 목표
- 이상적이고 영감을 주는 방향성을 포함해야 함.
- ex) L'Oreal: Beauty for All (모든 사람을 위한 아름다움)
2. 미션(Mission)
- 기업이 왜 존재하는지, 무엇을 하고자 하는지를 나타내는 목적
- 현재 실행하는 사업과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를 설명해야 함.
- ex) L'Oreal: Create beauty that moves the word (세상을 움직이는 아름다움을 창조)
3. 핵심가치(Core Values)
- 기업이 의사결정을 내릴 때 중요하게 여기는 철학과 원칙
- 조직 문화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.
- ex) L'Oreal: Innovation(혁신), Sustainability(지속가능성), Ethics(윤리)
4. 비전 및 미션 설정에 주요 접근법
- Golden Circle 모델: Why → How → Waht 순서로 접근하는 방법
- Why(왜?): 기업의 존재 이유
- How(어떻게?): 실행 방식
- What(무엇을?): 제공하는 제품/서비스
- 화장품 업계 예시 ▼
- Why: 우리는 모든 사람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
- How: 지속 가능한 원료를 사용하고 피부친화적인 기술을 개발한다.
- What: 친환경 성분을 기반으로 한 고기능성 스킨케어 제품을 만든다.
- Balanced Score Card(BSC 접근법): 기업의 비전과 미션을 4가지 관점에서 설정
- 고객 관점: 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줄 것인가?
- 내부 프로세스 관점: 어떤 프로세스를 통해 목표를 달성할 것인가?
- 학습 및 성장 관점: 기업의 성장 전략은 무엇인가?
- 재무적 관점: 장기적으로 어떤 수익 모델을 가질 것인가?
- 화장품 업계 예시 ex) 친환경 화장품 브랜드
- 비전: 2030년까지 100% 친환경 패키지를 사용하는 브랜드가 된다.
- 미션: 자연과 공존하는 아름다움을 창조한다.
- 핵심 가치: Innovation(혁신), Sustainability(지속가능성), Ethics(윤리)
'대학 공부 > 1-1-3 뷰티산업창업실무 - 홍원기 교수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주차 _ 사업 및 브랜드 컨셉 정하기 (2) (3) | 2025.06.15 |
---|---|
사업 및 브랜드 컨셉 정하기 (1) | 2025.04.23 |
화장품 산업 창업 법규 (4) | 2025.04.23 |
2025년 주요 이슈 (2) | 2025.04.23 |
화장품 산업 현황 (1) | 2025.04.22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