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mmy dance
사업 및 브랜드 컨셉 정하기 본문
[7주차 수업_사업 및 브랜드 컨셉 정하기]
1. 사업 및 브랜드 컨셉 정하기
1. 컨셉의 사전적 의미
- 어떤 작품이나 제품, 공연, 행사 따위에서 드러내려고 하는 주된 생각.
- 창작에 시초가 되는 단서 또는 생각
- 만화에 담아 전개한 어떤 내용의 개념
- 전체를 관통하는 새로운 관점이라고 정의함.
- '잡다' 라는 어원에서 출발함.
2. 컨셉 수업
- 예시 1) 최초의 컨셉 앨범: 비틀즈의 Sgt, 전체를 아우르는 스토리를 가지고 앨범을 제작함. (록 사상 최초의 컨셉 앨범)
- 일반 앨범과 컨셉 앨범의 차이점: 일관성
- 예시 2) 에어비엔비: 빈방을 빌려주는 아이디어로 시작하여 belonging anwhere (전세계 어디든 내 집처럼) 이란 컨셉을 정함.
- belonging: 거처가 되다, 소속되다, 일원이 되다.
- 내가 속할 곳을 찾는다는 것.
- 호스트가 제공하는 공간은 하우스가 아니라 홈이다.
- 디지털 시대에 태어난 새로운 기업이지만 컨셉은 인간의 근원적 욕구에 뿌리를 둠.
- 컨셉을 통해 사람들의 가치관을 뒤흔들고자 하는 자세가 아티스트와 닮음.
3. 컨셉 만드는 방법
-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?
- 존재의 의미를 중심으로 생각해야 함.
- 제품이나 서비스가 왜 이 세상에 필요한지 기업의 존재 의의를 더없이 강렬하게 보여주는 말이 필요함.
- 컨셉을 만드는 것은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는 일.
- 과거: 다른 상품과 차별화되는 특별한 기능이나 성능을 단순히 정리
- 현재: 자동차도 집도 패션도(놈코어 스타일) 얽매이지않는 자유로운 방식이 주목받고 있음
4. 컨셉의 역할
- 컨셉은 비즈니스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명확한 판단 기준을 부여함.
- 컨셉이 없으면 일반적인 합리성이나 비용 같은 수치에만 기대어 더 저렴한 것에 눈을 돌리게 됨.
- 컨셉은 대상 전체에 일관성을 부여함.
- 컨셉이 없으면 큰 방향성부터 세세한 디테일에 이르기까지 전부를 적합하게 만들 수 없음.
- 명확한 컨셉이 결여된 브랜드나 상품은 어딘가 조화되지 못한 짝짝이 같은 인상을 줌
- 컨셉은 고객이 지불하는 대가의 이유가 됨.
- 사물 자체가 아닌 사물이 존재하는 의미를 포착한 컨셉은 고객이 돈을 지불하는 이유가 됨.
- 소비자는 좋은 화장품을 원하는 것이 아닌 좋은 피부를 원함(근본)
- 컨셉이란 가치의 설계도라 할 수 있음.
'대학 공부 > 1-1-3 뷰티산업창업실무 - 홍원기 교수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2주차 _ 컨셉의 조건 (6) | 2025.06.16 |
---|---|
9주차 _ 사업 및 브랜드 컨셉 정하기 (2) (3) | 2025.06.15 |
화장품 산업 창업 법규 (4) | 2025.04.23 |
화장품 산업 창업 실무 1 (1) | 2025.04.23 |
2025년 주요 이슈 (2) | 2025.04.23 |
Comments